서울시 장애인 치과병원 & ‘장애 동행 치과’ 총정리: 진료과목·예약·지원혜택
서울시는 2025년 9월부터 중증장애인을 위한 새로운 치과 진료 체계인 ‘장애 동행 치과’를 도입했습니다. 이제 중증장애인도 특정 대형병원에 의존하지 않고, 거주지 인근 치과에서 안전하고 전문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서울시 장애인 치과병원과 장애 동행 치과의 차이, 진료과목, 예약 방법, 지원 제도, 그리고 실제 이용 꿀팁을 정리했습니다.
1. 서울시 장애인 치과 진료 체계의 변화
그동안 서울의 중증장애인 환자들은 치과 진료를 받기 위해 서울대치과병원, 서울시 장애인 치과병원, 연세대치과병원 등 극히 제한된 기관에 의존해야 했습니다. 이로 인해 최대 28주 대기, 원거리 이동, 높은 부담감이라는 문제가 발생했죠.
하지만 서울시는 2025년 9월부터 ‘장애 동행 치과’ 제도를 도입해 진료 체계를 혁신했습니다. 약 12만 명의 중증장애인이 집 가까운 치과에서 편리하게 치료받을 수 있는 길이 열린 것입니다.
2. ‘장애 동행 치과’란 무엇인가?
‘장애 동행 치과’는 뇌병변, 뇌전증, 정신·지체·지적·자폐성 장애 등 치과 진료가 까다로운 중증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전문 치과입니다.
- 총 41곳 지정, 17개 자치구 분포
- 아동 전용(11곳), 성인 전용(5곳), 아동·성인 병행(25곳)
- 예방진료부터 충치치료·발치 등 기본 진료 제공
즉, 이제는 대형병원까지 가지 않고도 집 근처에서 안전한 진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3. 왜 필요한가? 중증장애인의 치과 진료 현실
- 전신마취 진료 가능 기관: 단 3곳(서울대·서울시 장애인 치과병원·연세대)
- 환자 대기 기간: 최대 28주
- 구강검진 수검률: 17.9% (2022년 기준)
- 치과치료 필요 비율: 45.3% (일반인보다 1.39배 높음)
수요는 많지만 접근성은 극도로 낮아, ‘치과 사각지대’가 생겨났던 것이죠.
4. 단계별 맞춤형 치과 진료 체계
서울시는 장애인 치과 진료를 3단계로 나눠 체계적으로 구축했습니다.
1️⃣ 구강보건센터(보건소)
- 경증장애인 대상
- 구강검진, 기본 진료, 구강보건 교육
2️⃣ 장애 동행 치과 (41곳)
- 중증장애인 대상
- 구강검진, 스케일링, 불소도포, 충치치료, 발치, 치주치료
3️⃣ 서울시 장애인 치과병원 및 권역 센터
- 전신마취가 필요한 고난이도 치료 담당
- 희귀·난치성 중증장애인 전문 진료
이제 환자의 상태에 맞는 맞춤형 진료 흐름이 가능해졌습니다.
5. 주요 진료 내용
장애 동행 치과에서는 다음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구강검진: 충치·치주질환 조기 발견, 정기 관리
- 예방진료: 불소도포, 치석제거(스케일링)
- 기본 진료: 충치치료, 발치, 치주 치료
- 특화 서비스: 아동 전용, 성인 전용, 병행 운영 치과별 맞춤 서비스
특히, 수면 유도, 행동조절 기법, 보호자 동반 등 중증장애인에 최적화된 안전장치를 갖추고 있습니다.
6. 서울시 장애 동행 치과 현황
서울시가 지정한 41개소는 다음과 같이 운영됩니다.
- 광진구 서울개구장이치과의원: 아동 전용, 6대 장애 유형 진료
- 송파구 서울손치과: 성인 전용, 지체·지적·자폐 장애 진료
- 강북구 담소치과의원: 아동·성인 병행, 6대 장애 유형 진료
👉 전체 명단은 서울시 누리집에서 확인 가능
7. 기존 서울시 장애인 치과병원과의 차이점
서울시 장애인 치과병원은 전신마취가 필요한 고난이도 치료 중심, 장애 동행 치과는 예방·기본 진료 중심, 생활밀착형입니다.
- 서울시 장애인 치과병원: 전신마취가 필요한 고난이도 치료 중심
- 장애 동행 치과: 예방·기본 진료 중심, 생활밀착형
즉, 대형병원의 부담을 줄이고, 생활권 내에서 조기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역할을 나눈 것이 핵심입니다.
8. 기대 효과와 향후 계획
이번 조치로 약 12만 명(서울 등록장애인 31.2%)이 직접적인 혜택을 볼 전망입니다. 올해 안에 50개소 이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며, 구강 건강 격차 해소, 진료 대기 기간 단축, 지역 중심 의료 접근성 강화 효과가 기대됩니다.
- 중증장애인·비장애인 간 구강 건강 격차 해소
- 진료 대기 기간 단축
- 지역 중심 의료 접근성 강화
9. 이용자와 가족이 체감할 변화
이제는 집 근처 치과에서 정기검진·예방치료가 가능해져 이동 부담 감소, 치료 비용 절감, 보호자의 심리적·경제적 부담이 크게 완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 이동 부담 감소
- 대기 기간 단축
- 치료 비용 절감
- 보호자의 심리적·경제적 부담 완화
10. 모두를 위한 구강 건강권
서울시의 ‘장애 동행 치과’는 단순한 진료 확장이 아니라, 차별 없는 건강권 보장을 위한 중요한 시작입니다.
앞으로 더 많은 지역으로 확대된다면, 중증장애인도 비장애인과 똑같이 “당연한 치과 진료”를 누릴 수 있을 것입니다.
👉 가까운 지정 치과는 서울시 홈페이지 또는 120 다산콜센터에서 확인해 보세요.